이달의 콘텐츠 타이틀

도서관과 함께하는 청소년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

현재 우리나라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 교과과정을 떠나 뭔가를 해본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도서관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초등학교 과정의 아이들은 책을 열람하는 것 이외에도 도서관에서 진행하는 많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만, 중·고등학교로 진학을 하면서부터는 도서관의 이용목적에 많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독서나 문화 활동보다는 시험공부를 하는 공간으로의 전환이 가장 두드러지죠. 이러한 이용목적의 전환은 성인이 되었을 때도 공부하는 공간이라고 인식하게 됩니다. 도서관이 제공하는 역할 중 가장 단순한 이용형태로 고착되는 거죠.
어쩌면 이러한 이용형태 때문에 선진국에서는 도서관을 ‘지역사회에서 지식의 관문’로 이해하는 것과는 다르게 공부하고 책을 빌리는 협소한 기능으로만 인식되는 것은 아닌가 싶습니다.

국제도서관연맹이 발행한 ‘청소년 서비스를 위한 지침’에서 나타난 청소년 서비스의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청소년 서비스는 청소년들의 고유한 욕구를 바탕으로 어린이서비스에서 성인서비스로 전환하는
계기를 제공하여야 한다.
- 청소년들은 그들의 교육, 정보, 문화, 여가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를 필요로 하며 또한
그러한 서비스를 받을 권리가 있다.
- 도서관 서비스는 문해력, 평생학습, 정보문해력 및 독서의 즐거움을 증진시켜야 한다.


위의 지침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도서관의 청소년 서비스에서 강조되고 있는 것은 문해력입니다. 읽고, 쓰고, 이해하는 문해력 뿐만 아니라 정보 및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는 정보문해력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도서관은 세상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지식의 보고로 다양한 형태의 자료와 매체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공간 속에서 청소년들은 자신의 호기심과 궁금증을 스스로 해결해 나갈 수 있습니다. 도서관은 청소년들이 핸드폰을 통한 무조건적인 정보 습득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정보자료를 통해 자신의 생각과 평가를 바탕으로 자신이 선택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도서관들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정보활용교육을 적극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정보활용교육은 정보 홍수 속에서 학생들이 신뢰할만한 정보를 탐색하고 분석·종합하여 문제의 해결 방법 찾도록 지도하는 교육으로,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높일 뿐만 아니라 실생활에서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교육입니다.

경기도사이버도서관은 도서관에서 청소년과 함께 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들을 도내 공공도서관사서와 학교도서관 사서교사, 보드게임 개발자 등 다양한 분야의 현장 전문가들과 함께 개발하였습니다. 총 13가지 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화장, 옷 스타일 등 청소년들이 일상에서 관심을 가질만한 주제에서부터 역사, 사회문제까지 폭넓은 분야를 다루고 있습니다.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은 교사용 지도안과 학생용 활동지로 구분하여 개발하였으며, 다루고 있는 각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1장. 너와 나 1. 옷에 관한 (너, 나, 우리) 이야기
2. Make-up! : 화장품, 어디까지 아니!
3. 화폐 속 인물로 찾는 진로 ․ 인성이야기
2장. 우리 4. 별의 시인, 윤동주를 찾아서
5. 우리학교 선생님으로 딱!
6. 보드게임으로 암호를 찾아보자
7. 와글와글 도서관 토론수업
3장. 사회 8. 인간사회의 두얼굴, 공존과 갈등
9. 사회문제와 나
10. 멸종위기 동식물을 지켜라!!!
11. 보드게임으로 탐색하는 역사속의 우연
4장. 다함께 1. 옷에 관한 (너, 나, 우리) 이야기
12. 청소년동아리 활동으로 뭐가 좋을까
13. Picture book, For You : 청소년그림책선정위원회

책의 내용은 경기도사이버도서관 홈페이지 북매직 www.bookmagic.kr > 정보활용교육 > 청소년정보활용교육 메뉴)에서 서비스 하고 있으며 이는 경기도사이버도서관에서 앞서 제작한 도서관 정보활용교육 동영상 콘텐츠 <열려라 도서관 시즌 2 >과 같이 활용하면 더욱 좋습니다.

청소년 정보활용교육 바로가기

도서관과 함께하는 정보활용교육을 통해 청소년들은 주어진 정보를 무조건적으로 수용하기보다 ‘왜? 라는 질문’을 해결하기 위해 검색한 여러 자료를 기반으로 비판적인 사고와 함께 다양한 방법으로 그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학습하게 될 것입니다. 더 나아가 도서관을 통해 청소년들은 교육적 욕구를 충족하고 평생학습과 문해력, 독서흥미, 독자로서의 성장을 자극받게 될 것을 기대해봅니다.

[자료] 청소년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 자료집 표지

글쓴이. 신정아(경기도사이버도서관 사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