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물 상세화면
경기도의 금석문金石文 ①
천여 년 간 수도의 배후지로 역할하였던 경기도에는 수많은 금석문金石文 자료들이 산재해 있습니다. 금석문이란 금속에 새겨진 글(금문金文)과 돌에 새겨진 글(석문石文)을 통칭하는 용어입니다.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금문으로는 ‘호우총 청동그릇’이 있으며, 석문으로는 ‘광개토대왕비’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금석문은 절대 다수가 돌에 새겨진 글이며, 그 중에서도 비갈碑碣류가 가장 많이 조성되었습니다. 신라와 고려시대의 탑비塔碑는 불교사 연구에 있어서 유일한 자료가 되며, 고려시대의 많은 묘지墓誌들은 고려사 자료를 보충, 시정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또한 조선시대 능묘陵墓에 건립된 다양한 묘비墓碑와 어떠한 사실이나 인물, 건물 등의 이력을 기록한 기적비紀績碑 등을 통해 당대의 사실이나 문화, 학맥, 교류관계 등을 엿볼 수 있습니다.
 















호우총 청동그릇 ⓒ국립중앙박물관 광개토대왕비, 《조선고적도보》


1. 묘지墓誌: 개풍 흥왕사 대각국사 의천 묘지명興王寺大覺國師義天墓誌銘
묘지는 봉분이 없어지더라도 누구의 유골인지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무덤 앞이나 옆에 묻은 석판이나 도판입니다. 즉, 오랜 세월이 지난 후에도 묘의 주인공이 누구이며, 그의 행적이 어떠했는지를 전하기 위한 목적에서 매장할 때 함께 매립합니다. 묘지명에는 대체로 죽은 사람의 행장과 사적, 즉 성명과 자, 출생지, 선대계보, 생몰년월일, 가족관계, 관직의 약력과 부임지, 행적과 품행, 덕망, 경력, 사적, 자손의 성명, 묘의 위치, 묘의 방향 등의 내용을 작성합니다.(국사편찬위원회, 《한국서예문화의 역사; 한국문화사 37》)
흥왕사 대각국사 의천 묘지명 ⓒ국립중앙박물관

경기도의 대표적인 묘지로는 흥왕사 대각국사 의천 묘지명興王寺大覺國師義天墓誌銘이 있습니다. 의천 묘지명은 일제강점기 개풍군에서 출토되어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습니다. 의천은 고려 문종의 아들로 11세 때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습니다. 이후 송나라에 유학하고 고려로 돌아와 천태종을 창종하였습니다.
묘지명의 서체는 고려화된 구양순체歐陽詢體의 해서입니다. 글은 박호朴浩가 지었으며, 글씨는 고세칭高世偁이 썼습니다. 묘지명에는 출가·수계에서 입송구법入宋求法·천태종개창·입적·장례에 이르는 의천의 행적이 약술되어 있습니다.(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표석表石: 파주 영릉표永陵表, 수원 심온묘표沈溫墓表
표석은 묘역의 봉분 앞에 세우는 가장 단순한 형태의 비석으로 왕의 무덤인 능陵에 건립되면 능표陵表라 불리우며, 일반 사대부의 무덤인 묘墓에 세워지면 묘표墓表라 일컬어집니다. 비석의 앞면에는 피장자의 성명과 관직을 쓰고 뒷면에는 음기陰記나 건립연대를 기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영릉표 후면 ⓒ한신대학교박물관 영릉표 전면 ⓒ한신대학교박물관

파주 영릉永陵은 영조의 첫째 아들인 효장세자孝章世子의 능입니다. 10세에 요절한 효장세자는 정조가 효장세자의 양자 자격으로 왕위에 오르게 되면서 진종眞宗으로 추존되었습니다. 영릉표永陵表의 전면에는 커다란 전서체로 조선국 진종대왕영릉 효순왕후부좌朝鮮國 眞宗大王永陵 孝純王后祔左라고 적혀있습니다. 후면 음기 말미에 '아들이 즉위한 지 9년 을사년에 글과 전서를 썼다小子卽祚之九年乙巳月日謹書并篆'라는 문장으로 보아 비문을 정조가 직접 쓴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심온묘표 전면 ⓒ한신대학교박물관

수원에 있는 심온 묘표沈溫墓表는 세종의 장인이자 영의정을 역임한 심온의 생애를 기록한 비석입니다. 비석 전면에는 유명조선국대광보국숭록대부 영의정부사영서운관사 청천부원군증시안효심공지묘有明朝鮮國大匡輔國崇祿大夫領議政府事領書雲觀事 靑川府院君贈諡安孝沈公之墓라고 적혀있어 심온의 품계와 관직명, 시호 등을 알 수 있습니다. 한편 비석에 서자書者가 새겨져 있지 않으나 《청송심씨대동세보靑松沈氏大同世譜》,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등의 문헌자료에서 조선전기 사대명필 중의 한 명이자 송설체松雪體 대가인 안평대군安平大君의 글씨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3. 묘갈墓碣: 안산 오태주묘갈吳泰周 墓碣
우리나라의 비갈碑碣은 구분이 모호하지만 중국에서는 구분하였던 것으로 보입니다. 한나라의 역사서인 《후한서》에 따르면 “네모진 것이 비, 둥근 것이 갈이다”라고 하였고, 원나라 시기의 인물인 진역증陳繹曾은 “비의 형식은 웅장하고 고상하며, 갈의 형식은 질박하고 고상하다”고 구분하기도 하였습니다.(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묘갈은 묘역에 세우는 중간 규모의 비석으로 왕릉에는 건립되지 않았으며, 사대부의 묘에만 조성되었습니다. 묘갈은 대부분 묘역 내에 건립하였으나 간혹 묘소로 오르는 길가에 건립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묘갈에는 피장자의 생애를 서술한 묘갈명병서墓碣銘幷書를 새기는데, 글의 체제는 크게 서序와 명銘으로 나뉘어 구성됩니다. 서는 피장자의 일대기를 말하며, 명은 피장자의 생애를 찬양한 시문을 가리킵니다.(여주군사편찬위원회, 《여주의 능묘와 석물》)
오태주묘갈 우.후.좌면 ⓒ한신대학교박물관 오태주묘갈 전면 ⓒ한신대학교박물관

안산에 위치한 오태주묘갈吳泰周 墓碣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서예가인 오태주와 그의 부인 명안공주의 생애를 기록한 비석입니다. 이 묘갈은 여타 묘비들과 달리 건립과정이 특이합니다. 명안공주가 죽자 오태주는 묘갈 전면 1행 ‘조선국 왕녀명안공주지묘朝鮮國 王女明安公主之墓’와 묘갈 우면에 비문을 짓고 썼습니다. 이후 오태주가 죽자 전면 2·3행 ‘수록대부해창위겸오위도총부도총관오공태주도장지묘綏祿大夫海昌尉兼五衛都摠府都摠管吳公泰周道長之墓’과 좌·후면의 비문을 오태주의 글씨를 모아 집자하여 새겼습니다.

4. 신도비神道碑: 구리 태조 건원릉 신도비太祖健元陵神道碑, 남양주 민광훈 신도비 閔光勳神道碑
신도비는 능묘陵墓에 세우는 가장 큰 규모의 비석으로 종2품 이상의 고위 관직을 지내거나 사후에 추증追贈 받은 경우에만 세울 수 있었습니다. 왕의 경우 세종(영릉英陵)까지는 신도비를 건랍하였지만, 문종 사후 현릉顯陵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왕의 사적은 국사에 기록된다는 이유로 신도비를 세우지 않았고 후대의 왕들도 이를 따랐습니다. 신도비는 묘갈과 마찬가지로 피장자의 생애를 비석에 기록하며, 글의 체제는 묘갈과 거의 동일합니다.
태조 건원릉 신도비 ⓒ문화재청

태조 건원릉 신도비太祖健元陵神道碑는 조선을 개국한 태조 이성계의 건국 과정을 비롯하여 생애와 업적 등을 기리기 위해 일대기를 새겨 넣은 비석입니다. 전면의 비문은 권근權近이 짓고, 후면의 음기陰記는 변계량卞季良이 지었으며, 전액篆額(전서체로 쓴 머리글자)은 정구鄭矩가 쓰고, 비문 글씨는 성석린成石璘이 썼습니다.
비석의 상단 중앙에는 ‘태조건원릉비太祖健元陵碑’라는 전액이 올려있으며, 비문의 첫 머리에 ‘유명 시강헌 조선국태조 지인계운성문신무대왕 건원릉신도비명병서有明 諡康獻 朝鮮國太祖 至仁啓運聖文神武大王 健元陵神道碑銘幷序’라 적혀있어 태조의 건원릉 신도비임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비문에는 태조가 하늘로부터 천명을 받아 탁월한 무공과 정치력으로 백성들의 신망을 얻고 위화도회군을 거쳐 조선을 개국한 후 왕위에 올라 선정을 펼친 전 과정이 개괄적으로 서술되어 있습니다.(경기도·경기문화재연구원, 《경기도 문화재총람; 국가지정편 1》)

[경기도메모리에서 '경기도의 금석문' 관련 자료를 더 찾아보세요]

경기금석대관

경기금석대관 제2

경기금석대관 제3

경기금석대관 제4

경기금석대관 제5

경기금석대관 제6

경기금석대관 제7

경기 묘제 석조 미술 상 ; 조선전기 도판편

경기 묘제 석조 미술 상 ; 조선전기 해설편

경기묘제 석조 미술 하 ; 조선후기 도판

경기묘제 석조 미술 하 ; 조선후기 해설

경기 묘제 석조 미술의 연구현황과 과제

조선이 사랑한 글씨 ; 조선 500년 명필 명비 ; 30회 탁본전람회도록

고양 금석문대관(高陽 金石文大觀)

과천시의 분묘석물과 금석문

광주금석문대관(廣州金石文大觀)

군포금석문대관(軍浦金石文大觀)

김포시 금석문대관(金浦市 金石文大觀)

남양주 금석문대관 1》

성남 금석문대관

성남 금석문대관 속편

안성금석문대관(安城金石文大觀)

안양금석문 ; 안양문화원 향토사료 제13

양평금석문대관(楊坪金石文大觀) ; 향맥 27(鄕脈 27)》

양평금석문대관 속집(楊坪金石文大觀 續集) ; 향맥 28(鄕脈 28)》

여주의 금석문

내고장 용인 : 금석문총람

파주금석문대관 1 : 신도비편

파주금석문대관 2 : 묘지묘갈편

평택의 금석문 1》

포천금석문대관 ; 향토문화자료집 제6

하남금석문대관

글. 강석주(경기도사이버도서관 기록연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