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물 상세화면
경기도의 성곽城郭

지리적 위치로 인해 오랫동안 수도를 방어하여 왔던 경기도에는 다양한 성곽이 전해 내려오고 있습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수원의 화성華城을 비롯해 숲과 역사가 살아있는 광주의 남한산성南漢山城, 삶의 애환이 녹아있는 고양의 행주산성幸州山城, 난공불락의 산성인 북한산성北漢山城 등은 경기도를 대표하는 문화유산이자 치열했던 한반도의 역사를 짐작하게 하는 장소로도 그 가치가 높습니다. 경기도의 성곽은 우리에게 대중적으로 익히 알려진 것이 몇 안 되지만 수많은 성곽들이 경기도 31개 시·군 전역에 골고루 펼쳐져 있으며 지역별로 다양한 위치와 방식으로 구축되어 경기도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문화유산입니다. 최근 장소와 공간에 대한 기억의 재현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문화적 시도에 있어서도 성곽은 매력적인 대상이기도 합니다.

 

<수원 화성, 출처: 경기도사이버도서관>


경기도 성곽 길라잡이 1, 2
경기도 성곽 길라잡이는 경기도 각 시·군의 토성, 산성, 평토성을 조사 수집한 자료집으로 한강 이북과 한강 이남으로 나눠 총 2권으로 발간되었습니다. 다음에 소개할 경기도의 성곽이 한반도의 역사적 흐름과 시대적 상황에 맞춰 경기도의 성곽을 좀 더 포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면 해당 자료는 경기도의 각 지역별로 성곽을 구분하여 백과사전처럼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지역별로 분류된 성곽에는 이칭異稱과 축성된 시대, 소재지, 규모, 관련전투, 지정사항등이 표기되어 있으며 해당 성곽을 주제로 한 옛 지형도와 도화, 사진 등을 함께 수록하였습니다. 각 시기별 역사, 축성방법과 구조, 성내시설물과 문화유적까지 상세히 다루고 있어 경기도의 지역별 성곽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되고 있습니다.

경기도의 성곽 京畿道城郭
경기도 전 지역의 성터를 종합적으로 조명해 본 자료입니다. 경기도 성곽을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각 시대별, 국가별로 구분, 각각의 성곽이 가지는 특성과 축성의 주체를 밝혀내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성곽의 발생과 분화, 발전된 추이를 살펴보며 이를 문화, 사회, 군사, 지역 등 다양한 방면으로 이해하고 성곽이 가지는 의미와 가치를 되새겨볼 수 있습니다. 특히 성곽을 이해하는데 있어 경기도의 봉수烽燧 4곳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주목할 부분입니다. 봉수의 성격과 특징에 대한 정보는 경기도의 성곽을 이해하는데 있어 좀 더 넓은 시야를 제공합니다. 구의동 보루, 덕진산성 등 고구려 성곽 16, 파주 유계토성과 안성 망이산성 등 백제성곽 6, 신라성곽 18곳과 고려성곽 7, 남한산성과 화성 등 조선시대 성곽 23곳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숲과 역사가 살아있는 남한산성
남한산성은 병자호란 당시 남한산성에 피신한 인조가 삼전도에 나아가 항복한 수치스러운 역사로 유명하지만 외세의 침입으로부터 민족을 지키기 위해 오랜 기간 그 역할을 다한 것을 재평가 받게 되어 경기도는 1999년부터 남한산성을 역사주제공원으로 조성하였습니다. 길이 12km에 달하는 성곽 안에 남한행궁을 비롯한 200개가 넘는 문화유산이 있으며 각종 문화 사업이 펼쳐지면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어 남한산성에 주목하게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관심사를 반영하듯 다른 경기도 성곽과 비교해 남한산성에 대한 자료와 콘텐츠는 풍부한 편입니다. 경기도메모리에는 50여권이 넘는 도서단행본과 40여건 이상의 일반 문서류 등이 서비스되고 있습니다. 숲과 역사가 살아있는 남한산성은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삼국시대부터 일제강점기까지 민족의 자존을 지킨 남한산성의 역사와 문화유산으로서의 남한산성에 대한 가치와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장경사신지옹성 부근의 남한산성 성벽, 출처: 숲과 역사가 살아있는 남한산성, p.109>


역사로 문화로 찾아가는 행주산성
행주대첩으로 유명한 행주산성은 왜군에 대한 권율장군의 호령과 수많은 의병과 여성들의 애통함이 깃든 곳입니다. 일제강점기를 거쳐 1970년대에 이르기까지 황폐화되었던 행주산성은 1970년대 1, 2차 보수정화 공사를 거쳐 국난극복의 상징이며 민족의 성지로서 거듭나게 됩니다. 행주산성은 2000년대 즈음까지는 호국의 의미가 강조되었지만 2000년대 이후 행주대첩제, 행주문화제, 행주산성 해맞이 축제 등 다양한 축제 및 행사를 개최하여 문화를 향유하고 수려한 자연환경을 즐기는 장소로 유명해 지고 있습니다. 역사로 문화로 찾아가는 행주산성은 삼국시대부터 2000년대 이전까지의 역사적 사실과 2000년대 이후 시민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사랑을 받고 있는 여러 문화행사와 자연환경, 이를 가꾸고 지키는 행주산성의 관리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어 행주산성의 어제와 오늘을 잘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행주대첩의 축성시기부터 행주대첩과 같은 역사적 사건에 대한 자세한 설명도 수록되어 있지만 인천국제공항이 개항하기 전 제주도나 해외로 떠나는 신혼부부들이 신혼여행을 떠나기 전 공항이 가까운 행주산성에서 피로연을 갖고 기념촬영을 하는 것으로 애용되었다는 비교적 최근의 일들도 상세히 수록되어 있습니다.


삼각산 북한산성北漢山城
북한산성은 명승 제10호인 삼각산을 품고 험준한 지형에 견고하게 축조되어 난공불락의 산성입니다. 경기도의 다른 산성들에 비해 원형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고 북한산국립공원 지구 내에 위치하여 주변 환경도 빼어납니다. 해당 자료는 북한산성에 대한 풍부한 사진자료와 각종 지표, 북한산성이 지닌 성곽사적 가치 이외 문화유산적 가치를 담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역사 속의 북한산성이 갖는 유산적 가치와 산성내부의 건축물과 일반문화재, 북한산성과 관련된 무형유산과 주변의 자연유산에 대한 소개는 북한산성의 모든 것을 확인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북장대와 삼각산의 주봉, 출처: 삼각산 북한산성北漢山城, p.21>


용인 할미산성, 임진산성
고대로부터 서울과 남쪽지역을 연결하는 교통과 통신의 요지로 주목받았던 용인에는 할미산성을 비롯하여 보개산성, 임진산성, 태봉산성, 행군리토성, 처인성 등의 성지와 보개산 봉수, 건지산봉수 등의 봉수지가 남아있습니다. 경기도메모리에는 할미산성과 임진산성에 대한 자료가 서비스가 되고 있으며 각 자료들에는 산성에 대한 역사와 문화적 가치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해당 자료집들의 특징으로는 비슷한 시기에 지어진 산성들에 대한 소개와 함께 산성의 축조배경을 역사와 지리적 관점에서 살펴보았습니다. 산성에 대한 상세한 단면도와 출토된 토기류와 기와류 등의 도면들이 인상적이며 삼국시대부터 용인의 중요한 지정학적 위치에 대해서도 역사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어 유익합니다.


[경기도 성곽에 대한 자료를 경기도메모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기도메모리 [https://memory.library.kr]

경기도의 성곽, 경기문화재단, 2003

경기도 성곽 길라잡이 1, 김병희, 백영종, 2004

경기도 성곽 길라잡이 2, 김병희, 백영종, 2005

숲과 역사가 살아있는 남한산성, 경기농림진흥재단, 2008

역사 숨소리가 있는 남한산성, 한춘섭, 2010

역사로 문화로 찾아가는 행주산성, 고양문화원, 2015

삼각산 北漢山城, 경기문화재단 경기학연구센터, 2016

용인 할미산성, 경기도박물관, 2005

용인 임진산성, 경기도박물관, 2000

망이산성 학술조사보고서, 단국대학교 중앙박물관, 1992

산성일기, 박광운, 2006

남한산성 사료총서 제2, 남한산성문화관광사업단, 2012

 

. 장현주(경기도사이버도서관 기록연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