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물 상세화면
삶과 함께하는 경기민요

사람이 함께 모여 즐거움과 흥을 나누는 데에는 노래만 한 것이 없습니다.
최근 빌보드 차트에 올라 더욱 유명해진 BTSK-POP 한류의 열풍으로 세계 전역에서 우리의 노래가 울러 퍼지는 기쁨을 함께 하고 있지만 노래와 같은 소리는 우리의 오랜 역사 속에서 당시 사회상과 삶을 모습을 담고 그 맥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이번 호에서는 우리의 삶과 함께했던 경기도의 소리를 찾아보려고 합니다.


그 대표는 민요입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따르면 민요는 민중들 사이에서 저절로 생겨나서 전해지는 노래로, 인류가 집단생활의 감정을 공동으로 표현할 때부터 생겨났다고 합니다악곡이나 사설이 지역에 따라 노래 부르는 사람의 취향에 맞게, 노래 부를 때 즉흥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민요는 민중의 소리와 정서를 가장 잘 함축한 예술이라고 평가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경기민요(京畿民謠)는 민요권 구분에서 뚜렷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데 충청도 일부에서까지 불려졌으며 맑고 깨끗하며, 경쾌하고 부드러운 것이 특징입니다. 대개 5음 음계의 평조(平調) 선법을 가지고 있으며, 3·3도의 진행이 많고, 세마치나 굿거리장단으로 노래하기 때문에 경쾌하게 들린다고 합니다.


1
그림1:경기민요 (출처:문화재청)
 

경기민요에 대한 소리자료는 경기문화포털에서  경기소리따라, 경기12잡가, 경기민요, 경기향토 민요로 구분하여 직접 들어볼 수 있습니다.

이중 경기잡가는 경기소리의 한 종류로 조선후기부터 불려지기 시작하여 시조나 민요와 다른 성악의 한 갈래로 많이 불려지며 창법이 정악과는 달리 잡탕이라는 데서부터 나왔다고 전해집니다. 12잡가에는 유산가, 적별가, 제비가, 소춘향가, 선유가, 집장가, 형장가, 평양가 등이 있습니다.


1    


경기도 메모리에서도 소리와 민요와 관련된 자료를 찾아 볼 수 있습니다. 

- < 경기도의 향토민요 > 에서는 총 623곡의 향토민요를 채록하고 있으며, 농악은 150개, 그 중 논매는 소리가 116곡,  모내는 소리가 16개, 장례의식과 관련된 상여소리는 118곡, 회닺는소리는 129곡이  채록되어 있습니다. 그 이외에도 경기민요의 음계 활용양상이라던지 각 지역별의 다양한 향토민요에 대한 내용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경기도 소리대전집>에는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 31호 기예능보유자인 임정란선생이 경기민요를 비롯한 경기잡가 등 경기소리 를 한 곳에 모아 2권으로 출간한 것으로 상권은 긴잡가 12곡과 잡잡가 , 휘모리잡가 10곡. 선소리산타령 , 송서 곡을 실어 묵직한 소리를 담았고, 하권에는 경기민요를 중심으로 하여 짧은 장절로 된 노래 과 회심곡 과 같은 불가의 염불을 싣고 있습니다. 
 

민요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며 최초의 민요로 드는 것이 노동요입니다. 노동요는 노동을 하면서 노래를 부르면 행동 통일을 할 수 있고, 흥겨워서 힘이 덜 들기 때문에 전통적인 노동의 거의 전 영역에 걸쳐 구비되어 있고, 노동의 방식에 따라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불려졌다고 합니다.

이 중 <경기도의 향토민요>에 수록되어 있는 안성시 대덕면 대농리에서 채집한 <베틀가> 의 가사를 봐 볼까요

" 베틀다리는 네다리요.
  베짜는 아가씨 다리는 두 다리라
  울창 바깥에 나리는 비는
  정든 님의 눈물이라
  베짜는 아가씨 다리는 두다리요
  만첩산중 썩 들어서니 허리부터 아름답게 허리차고
  베 짜는 아가씨 아름답게도 베를 짜네 " 

가사를 들여다보면 비내리는 바깥을 보며 베짜는 아가씨의 모습이 눈에 보이면서, 그 노동의 고단함을 노래로 아름답게 표현하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3


특히 농업을 기반으로 한 우리나라는 민요의 대부분이 농요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농요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것이 논을 매면서 불렀던 논맴소리입니다. 밭농사보다 논농사에 치중했던 남한지역의 들녘에서 두레로 합을 맞춰 노래를 불러왔지만 1970년 제초제 사용으로 적은 인원으로 논맴이 가능하게 되면서 추억으로 남게 되었습니다. <경기도 논맴소리> 는 4권에 걸쳐 경기도 전역의 다양한 소리를 조사 수록하고 있습니다. 

이와같은 우리 전통의 소리를 후세대로 전승하기 위해서는 사람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경기도에서는 우리의 문화예술을 전승하고 활성화시키기 위해 무형문화재로 상여회다지소리, 호미걸리, 파주금산리민요, 평택민요 동두천민요 등 소리 뿐만아니라 경기소리 희몰이잡가 보유자 김권수 명창과 경기소리기잡가 보유자로 임정란 명창을 무형문화재 31호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현 문화 속에는 기나긴 역사의 과정 속에서 인간의 사회활동에 의해 만들어진 조상의 삶과 지혜가 담겨져 있습니다.  그 중 민요는 그 안에서 조상들의 오락과 희로애락을, 삶의 애환을 담은 수단이자 가락이었습니다. 소멸되어가는 전승가요를 보존하기 위해서 우리는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하며 전승문화를 발굴하고 연구하는데 끊임없이 노력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참고자료]
 
1. 경기도메모리 디지털자료 검색  https://memory.library.kr/
 
 - 경기도 향토민요 상 (2006) https://memory.library.kr/items/show/24211
 - 경기도 향토민요 하 (2006) https://memory.library.kr/items/show/24227
 - 경기소리대전집  상 (2001) https://memory.library.kr/items/show/62507
 - 경기소리대전집  하 (2001) https://memory.library.kr/items/show/62508
 - 경기도의 논맴소리 자료총서 1권 (2002) https://memory.library.kr/items/show/29510
 - 경기도의 논맴소리 자료총서 2권 (2004) https://memory.library.kr/items/show/26989
 - 경기도의 논맴소리 자료총서 3권 (2004) https://memory.library.kr/items/show/26979
 - 경기도의 논맴소리 자료총서 4권 (2006) https://memory.library.kr/items/show/26924
 - 경기도 모심는 소리의 양상과 민요권 : 상(2006) https://memory.library.kr/items/show/26891
 - 경기도 모심는 소리의 양상과 민요권 : 하 (2008) https://memory.library.kr/items/show/27808
 - 경기도무형문화재 총람 : 경기문화를 빚는 사람들(2001) https://memory.library.kr/items/show/23731
 - 경기도 무형문화재 총람 ; 경기도 지정 무형문화재 종합 안내서 (2017) https://memory.library.kr/items/show/62581


2. 웹사이트 

 - 경기학연구센터 : 2016경기무형문화재 대축제 민요 공연 영상 제공http://cfgs.ggcf.kr/
 - 화성문화원 : 지역전통민요 듣기        http://www.hscc.or.kr
 - 이천문화원 : 이천의 전통민요듣기      http://www.cc2000.or.kr/
 글. 최지희(경기도사이버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