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물 상세화면
4월은 도서관 주간 및 책의 날, 도서관 발전 종합계획에 관심을 가져볼까요?

매년 4월이면 도서관 주간 및 세계 책의 날을 맞아 전국 도서관에서 독서에 흥미를 갖게 되는 계기를 바라면서 독서문화 행사를 펼칩니다.  도서관과 책에 대해 친밀감을 높이고, 지역사회의 책 읽는 문화 확산을 위해 다양한 독서문화행사를 운영합니다. 한국도서관협회는 지역주민의 도서관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매년 412~18일까지를 도서관주간으로 정하고, 1995년 유네스코 총회에서는 독서 출판을 장려하고 저작권 제도를 통한 지적 소유권 보호를 위해 423일을 세계 책의 날로 제정하였습니다.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및 각 지역에서는 도서관 발전 종합계획을 발표했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2019-2023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에서는 5년을 주기로 도서관 발전 종합계획 연도별 시행계획 수립 및 시행을 하고 있습니다.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관계 부처 및 대국민 의견 수렴을 거쳐 수립한 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9-2023)’을 발표했습니다.

도서관법14조에 근거해 수립한 이번 종합계획은 도서관이 공동체 소통의 장으로서 개인의 삶을 바꾸고, 우리 사회를 변화시켜 나갈 수 있도록 한다는 청사진을 담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사람과 삶이 있는 도서관, 우리 삶에 더욱 밀착되어 삶의 변화를 촉진하는 도서관을 만들기 위해 사람에 대한 포용성, 공간의 혁신성, 정보의 민주성을 핵심가치로 설정하고, 4대 전략방향(목표)13개 핵심과제, 36개 추진과제를 제시했습니다.


2) 경기도 도서관 발전종합계획 2019 - 2023 연구보고서

3차 국가도서관 발전종합계획(2019-2023) 수립 시기에 맞춰 경기도 도서관 발전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 도민의 행복추구와 평생교육을 위한 목적으로 추진되었습니다. 경기도의 도서관 역할강화와 환경 개선, 도서관 서비스 증진을 위한 경기도 차원의 종합계획을 수립하였고, 3대 추진과제 및 17개 세부과제를 발표했습니다.

 

3) (3)독서문화진흥 기본계획 : 2019~2023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독서문화진흥법에 근거하여 제3차 독서문화진흥기본계획(2019~2023)을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 의뢰하여 수립하고 있습니다. 이번 계획은 2018년 책의 해를 계기로 처음 실시한 독자·비독자 대상 독자 개발 연구, 독서의 경제적 가치 등 사전 연구조사와 통계를 기반으로 수립하였습니다.

이에 문체부는 개인적 독서를 사회적 독서로 전환하고, 독서 가치를 새롭게 인식할 수 있도록 사람과 사회를 이끄는 독서를 비전으로 사회적 독서 활성화 독서의 가치 공유 확산 포용적 독서복지 실현 미래 독서생태계 조성 등 4대 추진전략과 중점과제 13개를 도출했습니다.

이번에 발표한 기본계획은 책 읽는 사회를 확산하고, 개인·정서적 행위에 초점을 두었던 독서 체계를, 함께 공유하는 사회적 독서로 전환해 독서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는 데 의미를 두고 있습니다.



 본 콘텐츠의 원문은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다양한 모바일 기기에서도 편리하게 이용이 가능하며,  ‘경기도메모리’ 홈페이지(https://memory.library.kr/) 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참고자료

* 경기도메모리 [https://memory.library.kr]

-(3)독서문화진흥 기본계획 2019~2023』, 문화체육관광부, 2019

-『제3차 도서관발전 종합계획 2019-2023』,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9

-『김포시 도서관 중장기 종합발전계획 수립 연구』 2019.4

-하남시립도서관 중장기발전 종합계획 수립 연구』, 한국도서관협회, 2019

-경기도 도서관 발전종합계획 2019 - 2023 연구보고서』, 경기도청, 2018

 

 

■ 웹사이트

-(대통령소속)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http://www.clip.go.kr


                                                                                                                                                                                                                                                                                                                                                                                                    
      글. 송은경 (경기도사이버도서관 사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