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물 상세화면
대한민국 책 읽기의 현주소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책 읽기에 대한 효용성을 의심하지 않습니다. 부모가 자녀에게, 선생이 학생에게 책 읽기를 권장하는 것은 삶을 더 풍요롭고 지혜롭게 살아갈 수 있는 습관이자 도구가 되기 때문입니다. 독서는 단순히 지식의 증가나 어휘 및 이해력이 늘어가는 것뿐만 아니라 책을 통해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줍니다. 하지만 책의 출판량이 늘어가고,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독서 환경이 마련되고 있지만 책 읽기의 벽이 높은 것도 현실이기도 합니다.

 

지난 1월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만 19세 이상 성인 6,000명과 초등학생(4학년 이상) 및 중고등학생 3,320명을 대상으로 ‘2021년 국민 독서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1년간(2020.9 ~ 2021.8) 19세 이상 성인의 연간 종합 독서율 (종이책, 전자책, 오디오북 중 한 가지 이상을 읽거나 들은 비율)47.5%, 학생은 91.4%로 나타났습니다. 연간 종합 독서량은 성인은 4.5으로, 19년에 비해 각각 8.2%포인트, 3권 줄어들었습니다. 다만 20대 청년층(19세 이상~29세 미만)의 독서율은 78.1%’19년에 비해 0.3%포인트 소폭 증가했고, 모든 성인 연령층과 비교해 높은 독서율과 많은 독서량을 보였습니다.

 

          [그림 1 ] '독서율' 변화 추이 (성인. 학생) - 단위 %


··고교 학생의 경우에는 연간 종합독서율은 91.4%, 연간 종합독서량 34.4권으로, 19년과 비교하면 독서율은 0.7%포인트, 독서량은 6.6권 감소했습니다. 또한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책 읽는 습관적 독서인구 비율은 성인은 28.0%, 학생은 57.7%로 파악되었습니다.

 

종이책 독서율은 성인 40.7%, 학생 87.4%19년에 비해 각각 11.4%포인트, 3.3%포인트 감소했지만 전자책 독서율은 성인 19%, 학생은 49.1%19년보다 각각 2.5% 포인트, 11.9%포인트 증가 추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학생과 20대 청년층을 중심으로 증가 폭이 커져 독서생활에서의 전자책 이용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오디오북의 독서율(청취율)의 경우에는 성인은 4.5%, 학생은 14.3%로 성인은 증가하고, 학생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림 2 ] 연간 매체별 독서율 변화 (성인)  - 단위 %
 

주된 독서의 목적은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얻으려고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책읽기가 사회생활이나 학교생활에 도움이 된다는 긍정적 인식을 나타냈습니다.

성인들은 독서의 장애요인으로 일 때문에 시간이 없어서’(26.5%), 다음으로 다른 매체·콘텐츠 이용’(26.2%)이라고 응답하고, 학생들은 스마트폰, 텔레비전, 인터넷 게임 등을 이용해서’(23.7%)와 다음으로교과 공부때문 (21.2%) 로 디지털 환경에서의 매체 이용 다변화가 독서율 하락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그림 3 ] 독서 목적(성인. 학생)  - 단위 %


이러한 결과는 <2020 방송대체 이용행태 조사>의 스마트폰 하루평균 이용시간이 예년에 비해 20% 증가하고, 온라인 동영상 콘텐츠(OTT) 이용률은 2020년에 66.3%23.6% 증가한 결과와 연계해볼 때 영상매체 및 스마트폰 이용증가가 중요한 배경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한편, 지난 2년 사이 50세 이상 중장년층과 고령층의 종합 독서율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50대는 35.7%(19년 대비 9.2%포인트 하락), 60세 이상은 23.8%(19년 대비 8.6%포인트 하락)로 중장년·고령층의 독서율은 지속적인 하락세가 나타났습니다. 독서선호도가 연령이 증가할 수 록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독서생활 변화는 학생이 성인보다 더 크게 나타났는데 학생이 성인에 비해 종이책, 웹소설을 읽는 시간과 도서구입 비용이 증가한 반면 서점이나 도서관 방문횟수, 대면모임 활동의 참여횟수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조사에서는 매체 환경의 변화에 따른 독서 범위에 대한 국민들의 의견도 확인했습니다. 성인의 과반수가 독서에 해당한다고 응답한 항목은 종이책 98.5%, 전자책 77.2%, 웹소설 66.5%였고, 학생의 경우에는 종이책 91.2%, 전자책 74.2%, 만화책 57.2% 이었습니다. 특히 학생의 경우에는 종이신문, 종이잡지, 웹툰, 웹진, 소셜미디어 등을 통한 읽기 활동도 독서의 영역으로 꼽았습니다. 또한 성인·학생 모두 인터넷 신문 읽기,‘챗북(문자 대화 형식의 콘텐츠)’읽기 등도 독서에 해당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적지 않아, 디지털 매체 환경에서 독서의 개념과 범위에 대한 인식이 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조직내 뿐만 거주지역에 따른 독서환경조성 여부가 독서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독서환경조성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것 나타났습니다.

 

이번 조사 결과 독서율, 독서량, 독서시간 등 주요 독서 지표는 낮아지거나 적어졌으나, 20대 청년층 독서율은 소폭 높아지고 20~30대의 전자책 이용률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독서 선호도 및 도서관 이용률이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변화하는 기술환경에 대응하여 습관적 독자를 늘리기 위해서는 전자책, 소리책(오디오북) 등 디지털책 콘텐츠를 확산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우리나라는 매해 독서율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미국의 경우, 2019년 성인독서 실태조사에서 종합독서율은 72%, 코로나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2020년 독서률은 77%로 상승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어떤 나라의 미래가 긍정적일까요?

 

인류는 책을 읽도록 태어나지 않았다라고 단언했던책 읽는 뇌』 저자이며 인지신경학자인 매리언 울프 교수는 읽기능력’ 이 우리 문명을 발전시킨 중요한 자질이라고 강조하며 책 읽는 뇌는 사용하지 않으면 잃는다라고 말했습니다.  이 말을 달리 해석해보면 책읽기는 저절로 되는 것이 아니라 책읽기에 대한 관심과 습관이 필요하다는 말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라도 독서를 생활화하기 위해 조금은 노력을 해보면 어떨까요?  혼자 읽기가 힘들다면 독서동아리나 독서공동체 등을 참여하여 함께 읽기를 시도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오늘은 주변에 있는 책을  펼쳐서  '나만의 시간' 을 잠깐이나마 가져보면 좋겠습니다. 
 

* 참고자료 :   2021 국민실태조사 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2021. 

                                                                                                                                                                   글. 신정아 (경기도사이버도서관 팀장)